맨위로가기

코르 카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 카롤리(Cor Caroli)는 사냥개자리에 있는 쌍성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알파 카눔 베나티코룸(α Canum Venaticorum)으로도 불린다. "찰스의 심장"을 의미하는 이 이름은 잉글랜드의 찰스 1세 또는 찰스 2세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α2 Canum Venaticorum에 코르 카롤리를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이 쌍성계는 약 110광년 거리에 있으며, 주성인 α2별은 사냥개자리 α2형 변광성의 전형적인 예로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HR 465
    HR 465는 273일의 궤도 주기를 가지며 0.47의 이심률을 보이는 분광 쌍성으로, 두 구성 요소는 최소 37,400,000km 떨어져 있다.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마하심
    마하심은 마차부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흰색 A형 주계열성인 마하심 A와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인 마하심 B, 그리고 A와 B로부터 멀리 떨어진 마하심 C로 구성되어 있다.
  • 사냥개자리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사냥개자리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A형 주계열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A형 주계열성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코르 카롤리
기본 정보
코르 카롤리
별자리사냥개자리
다른 이름아스테리온
리오켄자 12번별 A
BD +39 2580A
FK5 485
HD 112413
HIP 63125
HR 4915
SAO 63257
LTT 13717
학명Alpha Canum Venaticorum
Bayer 명명법α Canum Venaticorum
Flamsteed 명명법12 Canum Venaticorum
코르 카롤리 (Cor Caroli)찰스 1세의 심장
위치 및 거리
적색 편이-0.000014
시선 속도-4.10km/s
고유 운동적경: -235.08 밀리초/년
적위: 53.54 밀리초/년
연주 시차28.41 밀리초
거리110 ± 4 광년(34 ± 1 파섹)
물리적 특징 (주성 α² CVn)
겉보기 등급2.88, 2.84 - 2.98 (변광)
절대 등급0.147
변광성 유형사냥개자리 α²형 변광성 (ACV)
분광형A0spe
질량2.97 ± 0.07 M☉
반지름2.49 ± 0.26 R☉
표면 중력3.9 ± 0.1 (log g)
자전 주기5.46939 일
자전 속도18.4 ± 0.5 km/s
광도101 ± 12 L☉
표면 온도11,600 ± 500 K
B-V 색 지수-0.12
U-B 색 지수-0.32
R-I 색 지수-0.06
나이1억 6,500만 년
물리적 특징 (반성 α¹ CVn)
겉보기 등급5.60
분광형F형 주계열성
질량1.47 ± 0.15 M☉
반지름1.5 R☉
표면 중력4.25 ± 0.22 (log g)
자전 속도18 km/s
표면 온도7,080 K
B-V 색 지수+0.34
U-B 색 지수-0.03
R-I 색 지수+0.23
명칭
명칭 유래찰스 1세의 심장
기타
다른 명칭 (반성 α¹ CVn)리오켄자 12번별 B
BD +39 2580B
HD 112412
HIP 63121
HR 4914
SAO 63256
LTT 13718

2. 명칭

''α Canum Venaticorum''(알파 카눔 베나티코룸)은 이 항성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이름이다. 이 계는 두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밝은 별은 ''α2 Canum Venaticorum''(알파 2 카눔 베나티코룸), 더 어두운 별은 ''α1 Canum Venaticorum''(알파 1 카눔 베나티코룸)으로 구분된다.

이 별은 서구권에서 17세기까지는 특별한 이름이 없었으나, 이후 '찰스의 심장'이라는 뜻의 Cor Carolila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이름이 누구를 기리기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잉글랜드 내전 중 1649년에 처형된 잉글랜드의 찰스 1세를 기린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1660년 스튜어트 왕정복고를 통해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잉글랜드의 찰스 2세를 기린다는 설이다.

찰스 2세의 주치의였던 찰스 스카버러 경은 찰스 2세가 잉글랜드로 돌아오던 1660년 밤에 이 별이 유난히 밝게 빛났다고 주장하며 이 이름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R. H. 앨런은 그의 저서 ''별의 이름''에서 스카버러가 에드먼드 핼리에게 이 이름을 제안했으며, 찰스 2세를 지칭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버트 번햄 주니어는 이러한 주장이 1801년 요한 엘레르트 보데의 보고서 외에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편, 이언 리드패스는 그의 저서 ''별 이야기''에서 이 이름이 처음 등장한 1673년 프랜시스 램의 성도에는 ''Cor Caroli Regis Martyris''('순교한 왕 찰스의 심장')라고 표기되어 있어, 찰스 1세를 기리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한, 찰스 2세 즉위 당시 핼리는 겨우 3세였기 때문에 핼리가 명명했다는 설은 신빙성이 낮다는 비판도 있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들의 고유 명칭을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같은 해 7월 첫 번째 공고를 통해 α2 Canum Venaticorum의 공식 명칭으로 ''코르 카롤리''를 승인했다. 따라서 현재 공식적으로 ''코르 카롤리''는 α2 별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常陳|창 천중국어 ()이라는 별자리가 있는데, 이는 '황실 근위병'을 뜻한다. 이 별자리는 α Canum Venaticorum을 비롯하여 10 Canum Venaticorum, Beta Canum Venaticorum, 6 Canum Venaticorum, 2 Canum Venaticorum, 67 Ursae Majoris 등으로 구성된다. 이 별자리에서 α Canum Venaticorum은 常陳一|창 천 이중국어 (, 황실 근위대의 첫 번째 별)로 불린다. 이 중국 이름에서 ''Chang Chen''(창 천)이라는 이름이 유래하기도 했다.

3. 항성계 특징

2011년 3월 1일 영국 북부에서 관측한 코르 카롤리


코르 카롤리(α Canum Venaticorum)는 겉보기 등급 2.81의 쌍성이다. 두 별은 하늘에서 19.6 각초만큼 떨어져 있어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분리하여 관측할 수 있다. 이 항성계는 태양으로부터 약 110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코르 카롤리는 처녀자리 다이아몬드의 북쪽 꼭지점을 이루는 별이기도 하다.

주성인 α2 Canum Venaticorum는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의 원형 별이며, 반성인 α1 Canum Venaticorum은 F형 주계열성이다. 각 별의 구체적인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α2 Canum Venaticorum (주성)



α2 Canum Venaticorum는 분광형 A0의 주계열성으로, 5.47일의 주기를 가지며 겉보기 등급이 2.84에서 2.98 사이에서 변하는 변광성이다. 이 별은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이며, 특히 Ap/Bp 별로 분류된다. 특징적으로 지구 자기장의 약 5,000배에 달하는 매우 강한 자기장을 가진다. 이는 주계열성 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자기장에 속한다.

이 별의 대기에서는 규소, 수은, 유로퓸과 같은 특정 원소들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관측된다. 이는 별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일부 무거운 원소들이 가라앉는 반면, 특정 원소들은 복사압에 의해 표면으로 떠오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풍부한 금속선별일 가능성도 있다. 표면 원소 분리와 강한 자기장의 연관성이 추정되지만, 자기 발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

α2 Canum Venaticorum는 그 이름처럼 α2 Canum Venaticorum 변광성의 원형 별이다. 이 유형의 변광성은 강한 자기장이 표면에 거대한 별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별점과 별의 자전으로 인해 지구에서 볼 때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강한 자기장으로 인해 특정 스펙트럼선이 자전에 따라 강하게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현상 역시 밝기 변화에 기여한다.

3. 2. α1 Canum Venaticorum (반성)

α1 Canum Venaticorum은 F형 주계열성이다. 동반성보다 훨씬 어둡고 겉보기 등급은 약 5.60이다.

4. 기타

''코르 카롤리''는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미국 해군의 ''크레이터''급 화물선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